녹색성장 포럼/에너지 고효율화

에너지 절감율 80%가 가능한 지능형 가로등 관리시스템

강철2 2011. 11. 18. 16:20

에너지 절감율 80%가 가능한 지능형 가로등 관리시스템

최근까지, 30% 이상의 에너지를 절감한 조명시스템은 어느 곳에도 존재하지 않았다. 2009년, 스페인 ACR 그룹, Tecnalia사 그리고 Eguzkitan사는 지능형 조명회사인 LUIX사를 설립했는데, 이 회사는 현재 이전에 소비된 에너지의 70%~80% 정도를 절감할 수 있는 공공 조명 지능형 관리시스템을 시장에 출시했다.

Luix사와 Luix System사는, 프랑스 나바르(Navarre)에 기반을 둔 건설회사인 ACR 그룹의 사업다각화 회사이다. 오늘날, 조명 비용이 에너지 비용의 55%까지 달하는 지방정부에 있어서 경제성과 에너지 절감성은 최우선 과제이다. 기술적 파트너인 TECNALIA사에 의해 개발되고 LUIX Intelligent Illumination사에 의해 시장에 출시된 이 시스템은, 기푸스코아(Gipuzkoa) 지역과 나바르 근처의 다양한 도시 지역에 설치되었다. 그 결과에 의하면, 예를 들어 만약 기푸스코아 바스크 지역의 수도인 Donostia-San Sebasti?n시가 이 시스템을 25,000개의 가로등에 설치할 경우 연간 절감액은 3백만 유로에 달한다. 더욱이, 스페인 국가 차원에서 적용하게 되면 연간 절감액은 250백만 유로 이상이 될 것이다.

LUIX 시스템은 거리에 적정한 시간대의 교통 흐름에서 사람과 자동차에 맞게 가로등 조명을 제어한다. 가로등은 당시에 존재하는 사람과 자동차의 방향과 이동을 예측하여 적절한 시퀀스와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점?소등을 하게 된다. 이것은 존재하는 물체와 이동을 검지하는 가로등에 통합된 장치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사람과 자동차의 존재량에 따라 각 시점의 요구에 필요한 조명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가로등을 완벽하게 소등하지 않고 조명의 양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변경가능하다.

다른 중요한 장점은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원격 관리 능력이다. 가로등이 소등되거나 사고가 발생한 시점에, 시스템은 자체적으로 원격으로 운영자와 고객에게 이를 알려서 수리 시간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인프라시설의 유지보수에 상당한 절감이 가능토록 할 뿐 아니라 문제에 대한 즉각적인 해결도 가능케 한다.

추가로, LUIX 시스템은 외부와의 통신, 센서화, 오염정도에 대한 제어 그리고 도시 어느 지점에서도 교통밀도를 제어하는 것과 같이 LUIX 시스템 자체에 의해 창조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 정부와 공공기관이 새로운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등 미래의 지능형 도시의 중요한 발전을 가져올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장 중요한 장점은 이러한 모든 에너지 효율성, 공공 고속도로에 대한 원격 조명 관리가 지능형 도시 기능에 통합되어, 기존의 케이블 시스템과 통합된 상태로 막대한 투자 없이 사업이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파일럿 프로젝트
이 시스템은 부분적인 방식으로 기푸스코아와 나바르 지역의 많은 지자체에서 시험이 진행 중이다. 1년 전 스페인 북부의 가브리아(Gabiria) 지역 기푸스코아 빌리지에서, LUIX 시스템이 16개의 가로등에 설치되어 1,671유로를 절감한 바 있다. 이 중 974유로는 에너지 절감 그리고 697유로는 유지보수 비용이다. 이것은 절감율이 83.84%에 달하고 1년에 7,720㎏의 이산화탄소를 절감함을 의미한다.

톨로사(Tolosa)시는 우사바 스포츠센터 지역에 28개의 가로등을 지난 7월에 설치했다. 이 시스템은 연간 3,200유로의 재무적 비용과 에너지를 77%까지 절감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우스테로즈(Ust?rroz)의 나바르 빌리지는 몇 달 전에 동일한 시스템을 35개의 가로등에 적용했다. 아마도, 연간 절감량은 6,438유로에 이를 것이다.

이 시스템의 효율성은 검증되었고 이사바(Isaba)와 살리나스(Salinas)는 거리 전체에 걸쳐 통합된 방식으로 이 시스템을 설치하는 최초의 지자체가 될 것이다. 이 시스템 설치는 9월에 시행되었고 지자체 의회에 따르면 연간 20,0000 유로의 비용 절감과 약 80% 정도의 에너지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된다.

출처 :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s/2011/11/111111094558.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