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매장량 관련 용어 정리

강철2 2011. 3. 4. 12:05

아래 자료는 광진공에서 발췌한 자료로 매장량의 개념에 대해 잘 정리해놓은 것 같습니다.

관심있으시분은 참고하세요. 몇 분이나 계실려나? ㅋㅋㅋ

1. 매장량과 관련된 용어정리

Resources(자원) : 모든 생산활동의 투입요소, 광의적으로기술적경제적으로 이용가능하며 인간에게 유용하고 가치있는

 

Reserves (매장량) : 부존이 확인된 광상중에서 현재의 기술과 경제여건으로 이용가능한 자원

 

자원의 동태적개념(dynamic concept of resources) : 1950년대말 미국의 대통령특별위원회에서 채택한 개념으로 , ‘자원의 절대적 고갈(running out)개념 보다는 비용을 고려한 자원획득(resource availability at a cost)’ 의거 자원의 개발경제성을 중시.

 

•잠재적 자원(potential reserve) : 잠재적 자원에는 조건부(conditional), 가상적(hypothetical), 투기적(speculative)자원으로

 나누고 모두 합한 부분이 매장량과 대응되는 의미를 갖음.

 

•부존의 확실성을 나타내는 기술적 좌표 : 기술진보, 경영합리화를 통한 비용감소 자원의 경제적 이용가능성 증대 (, 확정, 추정, 예상)

 

2. 매장량산출방식 비교

1) 국내 매장량 개념

 

특징

 

 

 

 

 

•생산중인 광산위주의 규정

 

 

•석탄광, 일반광, 석회석광등 광상의 부존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산출기준 적용

 

 

 

 

 

 

 

 

 

 

 

 

 

   

. 부존의 확실성에 따른 분류

탐사정도에 따른 부존자원의 확실성이 높은 순으로 구분

◦확정광량 : 광체의 체적, 비중, 품위 등이 확인되는 구획내의 광량으로서 부존의 확실성이 인정되며 보통 34면이 확인되고    각면의 시료도가 완성된 구획내의 광량 

◦추정광량 : 확정광량보다 확실성이 미흡한 경우의 광량으로서 규칙광상의 경우 2, 불규칙광상의 경우 3면이 확인되는 구역의 광량 

◦예상광량 : 추정광량보다 확실성이 적은 구획내의 광량으로서 규칙광상의 경우 1, 불규칙광상의 경우 2면이 확인되는 구역의 광량 

. 실제 생산경제성을 고려한 개념

부존광량을 대상으로 실제 채광이 가능한 지 여부를 고려하여 산출된 매장량

◦가채광량 : 산출된 확정광량과 추정광량에 가채율을 곱하여 산출된 매장량의 합계로 경제적으로 가행이 가능한 범위내에서 산정,

                  가채율은 확정광량의 경우 90%이내, 추정광량의 경우 70%이내 적용

가채광량 =

확정광량 × 가채율( 90%)

추정광량 × 가채율( 70%)

 

확정광량

추정광량

예상광량

 

확정×(90%)

확정×(70%)

 

   

2) 미국의 매장량 개념

 

특징

 

 

 

 

 

•국내 산출방식과 유사

 

 

•부존이 확인되는 정도에 따른 분류

 

 

 

 

 

 

 

 

 

 

 

 

 

 

Measured Resources : 노두, 트렌치, 채광작업, 시추등에 의하여 확인되는 광량, 품위는 체계적인 시료채취에 의해 확인되어야 하며 탐사가 충분히 진전되어 광체규모, 형태, 부존심도, 광물조성 등이 정의되어야 한다. 실제 품위 매장량과의 오차율은 보통 20%이내이다.

Indicated Resources : Measured Resources 유사한 방법으로 계산된 광량으로 탐사정도(간격) Measured보다 진행되어 신뢰도는 상대적으로 낮으나 탐사간격사이의 광체의 연속성이 인정되는 경우의 매장량

Inferred Resources : 탐사 간격사이의 지질학적 연속성은 인정되나 품위파악등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광역지질  자료에 근거하여 산출된 매장량

Reserve : 어떤 시점에서 경제적으로 채광할 있는 광량으로 Demonstrated Resources로부터 산출됨

Marginal Reserve : 채광은 가능하나 경제성의 관점에서 불확실한 매장량

Resources

Identified Resources

Undiscovered Resources

Demonstrated

Inferred

Hypothetical

Speculative

Measured

Indicated

 

 

Reserves

 

 

Marginal Reserve

 

 

 3) 호주의 매장량 개념

 

특징

 

 

 

 

 

•국내 및 미국의 산출방식과 유사

 

 

•부존이 확인되는 정도에 따른 분류

 

 

 

 

 

 

 

 

 

 

 

 

 

 

Coal Resources : Coal Resources 잠재적으로 사용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석탄 부존량 혹은 관찰(observation) 관점에서 특정지역에 존재한다고 가정되는 잠재적으로 사용가능한 석탄부존량을 말한다.

Inferred Resources(Inferred, Class ) : 제한된 정보로 인하여 평가가 신뢰할 만한 수준이 되지 못할 때의 석탄부존량으로서 통상 4㎞이상의 관찰시점 사이의 간격이기는 하나, 지질조건으로 보아 탄층의 연속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탄폭의 결정이 가능한 경우의

Assumed Resources(Inferred, Class ) : 4㎞이내의 간격으로 관찰이 행해져야 하며 지질조건으로 보아 관찰지점사이에서 탄층의  변화없이 계속 발달된다고 판단되어져야 한다.

Indicated Resources : 관찰이 충분하여 석탄의 부존심도, , 양에 대한 실질적인 평가 가능한 경우의 석탄부존량으로서 이양은 정밀탐사에 의해 크게 화하기 않는 조건이러야 하며 일반적으로 2㎞이내의 간격으로 관찰을 행하여야 한다.

Measured Resources : 관찰이 충분히 진행되어 탄폭, 탄질, 부존심도 양에 대한 신뢰 만한 평가를 있을때의 석탄양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관찰 지점은 1㎞이내의 간격으로 행하여야 한다.

Coal Reserves : Coal Resources중에서 개발계획을 수립한 석탄부존량으로서 이에 대한 개발계획의 수립이 가능할 정도의 충분한 정보를 가진 지역의 석탄부 존량을 말한다.

Mineable In-situ Reserves : 충분한 정보에 의한 개발계획의 수립이 가능할 개발계획이 수립된 지역의 석탄매장량으로서 Indicated resources Measured resources로부터 계산될 있으나 일반적으로 개발계획 수립을 위해 추가의 시추가 필요하다. 보통 Indicated  resourecs로부터 대체적인 채광계획을 수립할 있으며 Measures resources로부터 세부 채광계획을 수립할 있다. Mineable In-situ Reserve 노천 갱도채광으로 구분하여 양이 산출되어야 채광법의 윤곽도 Recoverable Reserves : Mineable In-situ Reserve로부터 실제 채광 가능한 석탄의 양을 말하며 Mineable In-situ Reserve  채탄실수율을 적용하며 계산하며 채탄실수율은 채광법에 관계된다. 만약 채광법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  지지 않은 경우 갱도채광은 50%, 노천채광은 90% 채탄실수율을 용한다. Recoverable Reserve 채광시의 폐석혼입량(dilution) 더하 Run of mine reserve 된다.

Marketable Reserve : 판매할 있는 석탄량으로서 원탄으로 판매시 Recoverable Reserve dilution 합계 ROM 같은 양이며 정탄 판매시는 Recoverable Reserve 선탄수율을 적용케 된다.

 

Resources

 

Reserves

Inferred(4㎞범위내 탐광)

 

 

 

Class

 

 

Class

 

 

 

Inferred

 

 

Assumed

 

 

 

 

 

 

 

 

 

 

Indicated(2㎞범위내 탐광)

 

 

 

 

 

 

 

 

 

 

Mineable

 

 

Measured(1㎞범위내 탐광)

 

 

 

채광실수율적용

 

 

 

 

 

 

 

Recoverable

(Rom Coal)

 

 

 

 

 

선광실수율적용

 

 

 

Marketable

(Saleable)

 

 

4) 사회주의 국가(러시아, 베트남) 매장량 개념

 

특징

 

 

 

 

 

•탐사의 정도와 광상별 부존특성, 개발가능등을 고려하여 산출

 

 

•산출결과에 대한 관계기관의 검증 필수

 

 

 

 

 

 

 

 

 

 

 

 

 

 

매장량

A

세부탐사

시행지역

개발지역

채광계획 설정

 

B

채광계획 미설정

 

C1

미개발지역

부분적 시추시행

 

C2

미탐사지역

시추 미시행지역으로

광물부존지역

Prospective

Reserves

P1

일반적으로 광상부존이

예상되는 지역

Forecast

Reserves

P2

지질학적 판단에 의해

광상부존이 기대되는 지역

P3

 

B : 지표지질, 갱도, Pit, 시추등을 통해 20m 간격으로 확인되는 구역

C1 : 지표지질, 갱도, Pit, 시추등을 통해 1030m 간격으로 확인되는 구역

C2 : C1 주변부 노두등이 50m 간격으로 확인되는 구역

P1 : C1, C2 비해 탐사가 미진하여 광맥의 폭과 연장등이 간헐적으로

파악되는 구역

P2-3 : 광역지질조사에 의해 광맥의 폭과 연장이 파악되는 구역

 3. 비교검토

이상에서 각국의 매장량 산출방식을 비교, 검토하면 아래와 같이 개략적으로 도식화함으로서 간단히 비교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호주등 서방국가의 경우 매장량 산출방식에 있어 부존의 확실성에 근거하여 크게 확정(Proven or Measured), 추정(Probable or Indicated), 예상(Possible or Inferred)등으로 산출하고 이를 대상으로 채광가능한 매장량인 가채광량(mineable or demonstrated)으로 산출하여 광산평가시 기초자료로 삼은 반면,

러시아를 포함한 몽골, 베트남등 사회주의 국가은 부존자원 평가시 개발여부 탐사단계에 비중을 두고 매장량을 A, B, C등으로 구분하며 첨자를 사용하여 상대적인 탐사정도를 표시, 매장량 등급을 세분하여 산출하고 있다. 인위적으로 구분을 하자면 A 매장량과 일부 B 매장량은 우리의 ‘확정’매장량이 있으며 탐사정도가 상대적으로 다소 떨어지는 B급과 C급이 ‘추정’매장량에 해당될 있다. 개략적인 지표조사에 의해서만 확인되는 C2급은 ‘예상’매장량 범주에 속한다. P1 이하는 지질학적인 부존이 예상되는 잠재적 부존량으로 정확한 의미에서 매장량(Reserve)보다는 부존량(Resource) 해당한다.

 

??????????????????????????????????

?????????????????????

Discovered

Undiscovered

Identified Resources

(Reserves)

Undiscovered Resources

Demonstrated

Inferred

Hypothetical

Speculative

Measured

Indicated

 

 

 

 

 

 

매장량

(Reserves)

Resources

(확정)

Proven

(추정)

Probable

예상

(Possible)

기대광량(Expected)

(가채광량)

Mineable

 

 

 

 

 

 

사회주의국가

(러시아)

( )

(베트남)

A

B

C1

C2

P1

P2

P3

정밀조사

개략조사

미조사

개발중

미개발

Prospective Reserves

Forecast Reserves

 

태그저장 취소 

[출처] 매장량의 개념|작성자 Bint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