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바이오디젤

재생에너지원으로 본 야자유 바이오디젤의 전망

강철2 2011. 3. 25. 11:52

재생에너지원으로 본 야자유 바이오디젤의 전망

○ 화석연료 가격 상승은 대체에너지인 바이오디젤 산업을 발전하게 하였다. 바이오디젤은 환경 친화적인 연료로 화석디젤과 같은 기능적 성질을 부여한다. 말레이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야자유를 생산하는 국가 중의 하나로 야자유를 원유로 하여 바이오디젤을 생산한다. 말레시아의 야자유 바이오디젤은 경제적, 사회적 및 환경적 측면에서 볼 때 많은 장점과 단점이 있다. 이 문헌은 말레이시아 야자유 바이오디젤 산업을 설명하고 미래를 전망하였다.

○ 이 문헌은 국제 상품규격을 충족하는 야자유 바이오디젤 생산기술에 관해서도 간략히 설명하였다. 말레이시아는 인도네시아와 브라질 같은 다른 바이오디젤 생산국들과 힘든 경쟁에 직면해 있다. 말레이시아가 세계 최대 바이오디젤 수출국을 유지하기위해 직면한 과제들을 논하고, 야자유를 원료로 사용함으로 야기되는 유익한 점과 불리한 점을 논하였다.

○ 바이오디젤은 큰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석유디젤을 대체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 물질 배출량도 줄일 수 있다. 바이오디젤은 주로 유채를 원료로 많이 이용하며, 그 외에 야자, 해바라기, 대두, 폐식용유 등을 사용하며, 국내에서는 대두를 많이 이용한다. 바이오디젤의 생산비용에서 차지하는 원료비는 매우 높으며, 원료의 확보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바이오디젤 원료 자원이 풍부한 나라들과의 협력을 통해 원료자원 확보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중요하다.

○ 현재 바이오디젤은 원료로 식용 농작물을 많이 이용 한다. 그 결과 수요가 증가하여 곡물 가격이 급등하였다. 또한 수요 증가로 농작물 재배를 위해 살림을 벌채하여 환경문제도 야기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곡물이 아닌 식물자원을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국내에서도 담수 또는 해수에서 자라는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미세조류는 농작물보다 연간 단위면적당 매우 높은 오일생산성을 갖는다. 비식용식물을 이용하여 바이오디젤을 상업적으로 생산 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출처 :

원문제목
국가
발행일 2011-03-21 등록일 2011-03-23
정보제공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S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