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하이라이트 1
ReSEAT 프로그램(http://www.reseat.re.kr)
중국 태양전지 시장의 현황과 전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 문 연 구 위 원 변 선 호
(sonbi@reseat.re.kr)
중국은 에너지 소비가 막대하여 화석연료로부터의 탄산가스 배출이 2010년
6497 메가톤으로 세계최고이다. 중국의 태양전지 산업은 단결정 실리콘 셀
생산라인 두 대가 도입된 1980년대에 사실상 시작한 뒤 급성장하여 2008년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용량이 2588MWp에 달하고, 총 태양전지 용량은
2634MWp가 되어 전 세계 태양전지 용량의 45%가 되었다.
중국은 전력망이 없는 Tibet에서 7810MJ/㎡, Xinjiang에선 6342MJ/㎡의 연간
최대 일조량을 가진다. 서부 중국은 대략 3000h의 평균 일조시간을 가져 이 지
역 전기부족 해결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중국은 인구가 많고 영토가 넓어
세계최대 태양전지 시장으로, 태양전지 촉진을 위한 많은 정책을 채택하였다.
2006~2007년 중국 재생에너지법 및 재생에너지원 중장기 계획을 입법화하였다.
2009년 중국 재무부 및 과학기술부의 "Jintaiyang Project"는 태양전지 시장
의 개발을 쉽게 하기 위함이다. 중국정부는 다음 3~5년간 15B$(100B
Yuan)을 투자하여 294개 시범 프로젝트를 설치하고, 전력망 연결 프로젝트
엔 총 투자액의 50%, 원격지의 독립 프로젝트엔 70%의 금융지원을 한다.
2009년 말 재생에너지원법이 개정되어 재생에너지의 전기 매입보증시스템을
시행하게 되었다.
태양전지 산업발전의 최대 장애의 하나는 화석연료 사용보다 높은 발전비
용이다. 이는 태양전지의 고가부품 및 태양에너지의 7~8%의 낮은 변환효율
에 기인한다. 폴리실리콘이 핵심인자인데 이의 가격과 정제기술발전이 변환
효율 및 발전단가를 크게 좌우하므로 중국 정부가 적극 지원하여, 태양전지
의 발전단가가 점차 낮아지고 있다.
종래의 발전단가는 연료비 상승으로 높아져 태양전지 발전단가는 금후 5~10
년 내 화석연료 발전단가와 동등 이하가 될 것이다. 2006년
전가격 및 비용 배분에 관한 임시적 관리방법이 발표되어 발전차액지원, 정
부대출, 수익보조금 등을 정부가 지원하게 되었다.
현재 중국에는 50개 이상의 태양전지 셀 회사 및 300개 이상의 태양전지
모듈 회사가 존재한다. 중국은 태양전지의 최대 생산국이지만 이를 이용한
국내 전기생산은 매우 낮았다. 2008년 중국은 세계 태양전지 총 생산용량의
45%를 점유하지만, 소비용량은 세계 총 태양전지 소비용량의 1% 이하이고,
대부분은 수출되었다. 아직 중국의 태양전지 시장은 정부의 보조금/장려책에
의존하나, 태양전지 기술개발 및 발전단가 감소로 미래전망은 밝다.
중국은 태양전지 양수 펌핑 저장시스템, 옥내용 소규모 태양전지, 태양전력
스테이션 등의 독립형 태양전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원격지 및 서부지대에
태양전지 전기화가 진행 중이고 시골에 1000개 이상의 태양전력스테이션이
필요하다. 전력망 연결 태양전지 시스템은 대형 태양광발전소(VLS-PV)나
빌딩과 연계되었다. Tibet은 중국 내 태양에너지의 최고 이용률을 보이고, 현
재 9MW 초과 태양전지 용량을 가지며, 넓은 사막의 Xinjiang 지역도 태양전
지 시스템의 유망한 수혜지역으로 VLS-PV가 전기문제 해결에 밝은 전망을
보인다.
2009년 5월 SEMI의 태양전지 그룹은 “중국의 솔라 미래”란 백서를 공표
하였다. 중국은 2014년까지 세계 평균 태양광 이용률 달성을 위해 2010년 목
표를 300MW에서 745MW로, 2020년 목표를 1.8GW에서 28GW로 수정하는
것이었다. 태양전지 주원료인 폴리실리콘 가격이 2008년 말 폭락하여, 2009
년 2분기엔 태양전지의 원가가 40% 인하되고 태양전지 발전비용도 내렸다.
“녹색 에너지 정책” 성공은 태양전지 발전단가를 화석연료 발전단가까지 내릴
것이다.
2009년 Qinghai 성을 비롯한 여러 지방정부는 태양전지 개발에 적극적이다.
2010년 5월 국무원은 개인기업의 태양산업 설립을 격려하는 투자장려책을
입법화하였다. 기존 태양전지 시스템용 에너지저장기술인 VRLA(Valve-Regulated
Lead-Acid) 배터리 시스템은 여러 단점이 있어, 이의 개선이 중국 내 태양전
지 발전의 조건이 되었다. 소규모 태양전지용 Li 이온전지, 최근 급속히 개발된
슈퍼커패시터는 에너지 저장에 유리하지만 배터리 사이클 수명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중국은 현재 50MW의 전력망 연결 태양광발전소, 2MW 태양광 발전 마이
크로 기술연구와 데모, 다양한 박막 태양전지 기술 등을 연구하고 있는데
2020년까지 태양전지의 총 설치용량은 20GW에 이를 것으로 기대되고 있
다.
출처 : Ruirui Zhao et al, “Present status and prospects of photovoltaic market in China”,
'에너지 > 태양광· 태양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나다 온타리오주, 정부 지원을 통한 태양광발전 시설 운영 현황 (0) | 2011.03.27 |
---|---|
태양광 발전과 태양열 발전의 효율성 비교 (0) | 2011.03.27 |
반도체 태양광 전지(Semiconductor photovoltaic cell)를 이용한 에너지 생 (0) | 2011.03.25 |
새로운 집광형 태양광발전기술 (0) | 2011.03.25 |
미리넷솔라, 17.2%대 고효율 태양광전지 양산화 성공 (0) | 2010.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