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태양광· 태양열

주요국의 태양에너지정책 동향

강철2 2012. 3. 22. 18:34

주요국의 태양에너지정책 동향

1. 분석자 서문
화석연료 사용으로 야기되는 환경상의 문제 등 부정적인 영향과 증가하는 에너지수요를 극복하기 위하여 많은 국가들이 환경친화적인 재생에너지로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태양에너지는 환경상의 문제를 최소화하는 최적의 재생에너지원 중 하나이다. 각 국은 화석에너지의 의존을 줄이기 위한 태양에너지정책을 시행하고 자국의 태양에너지의 생산을 늘리고 있다. 2010년 BP 통계자료에 따르면 2009년 세계 태양에너지 누적 용량은 22928.9MW로 2008년 대비 46.9% 증가하였다. 현재 태양에너지의 정책에 성공한 국가들이 수행한 정책수단은 발전차액보상(FIT: feed-in Tariff), 의무할당제도(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인센티브제도 등이 대표적이다. 본 분석물에서는 태양에너지 정책에 있어서 선도 국가인 독일과 미국 등 최근 태양에너지 분야에서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정책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2. 목차

주요국의 태양에너지정책 동향(KOSEN).pdf


1. 개요
1.1 에너지정책
1.2. 태양에너지의 중요성
1.3. 세계 에너지 소비
1.4. 태양에너지기술 전망
1.5. 온실가스 배출과 영향
1.6. 태양에너지의 이점

2. 주요국의 에너지정책
2.1. 북미의 태양에너지 정책
2.2. 유럽의 태양에너지 정책
2.3. 아시아 국가의 태양에너지 정책
2.4. 호주의 태양에너지 정책
2.5. 말레이시아의 태양에너지 정책

3. 결론 및 분석자 의견

References

3. 원문정보
H. Fayaz/ A review on global solar energy policy/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2011.5

※ 이 자료의 분석은 KIGAM의 김영인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출처 : KOSEN

주요국의 태양에너지정책 동향(KOSEN).pdf
0.37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