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지구물리학적 탐사 [地球物理學的探査, geophysical prospecting

강철2 2011. 3. 6. 15:02

지구물리학적 탐사 [地球物理學的探査, geophysical prospecting]
요약
인공적 ·자연적으로 생긴 물리현상을 주로 지표면에서 관측하여, 그 자료로부터 지질구조, 광상의 존재 등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물리탐사 또는 물리탐광이라고도 한다.
본문

물리탐사() ·물리탐광()이라고도 한다. 탐사의 실마리가 되는 물리적 현상의 종류에 따라 ① 탄성파()가 지하를 전파하는 상태를 이용하는 지진탐사, ② 지층 ·광상의 밀도차에 의해 인력의 수치가 다름을 이용하는 중력탐사, ③ 지층 ·광상이 천연적으로 발생하는 전기장 또는 인공적인 전기장 ·전자기장을 이용하는 전기탐사, ④ 지층 ·광상의 자성()을 이용하는 자기탐사, ⑤ 퇴적물 ·광상 ·지하수의 천연방사능 또는 인공방사선을 이용하는 방사능탐사, ⑥ 지하의 온도 또는 온도기울기를 이용하는 지열()탐사 등으로 나뉜다. 방사능탐사에서 특히 방사선 측정기를 비행기에 싣고 비행하면서 천연방사능을 측정하는 것을 항공방사능탐사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석유 ·천연가스 ·석탄 ·핵연료 물질 ·금속광물 ·비금속광물 ·지열 ·온천 등 지하자원의 탐사 및 토목건설공사 등의 지질조사에 이용된다.

실시 과정은 다음과 같이 대략 5단계로 나뉜다. ① 조사지의 선정, 조사지 및 인접 지역에 관한 문헌자료를 수집한다. ② 조사지의 환경 ·지질 ·지형에 대한 지식을 정리하기 위한 예비적 현지조사를 한다. ③ 탐사 방법의 선택과 결정, 한 가지 탐사 방법으로는 잘 구별되지 않는 구조나 광상의 조사에서는 몇 가지 방법을 결합시킨다. 이 단계에서는 조사비용이나 가동일수 등의 제한도 참작한다. ④ 야외의 지구물리학적 탐사 실시, 조사의 진행과 아울러 측정 결과를 대국적으로 해석하면서 작업을 계속한다. ⑤ 결과를 판독하여 보고서를 작성한다. 

탐사 [ prospecting, ]

 

광산·탄전·유전 등의 개발을 위하여 광상을 발견하고 그의 상태·규모 등을 알아내는 작업을 탐광 또는 탐사라 한다. 광상의 대부분은 지하에 매장되어 있고 또 외부에서 볼 수 있는 것은 극히 일부분이므로 발견하기가 매우 어렵다. 설사 발견하였다 하더라도 개발을 위해서는 충분한 조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지질학·지구물리학·지구화학 등의 종합적인 지식을 이용하여 정밀하게 조사해야 한다. 조사지역에 대하여는 우선 충분한 지표 지질조사로 지형·단층·습곡 지층의 주향과 경사·지층 간의 관계·암석의 종류 등 많은 자료를 수집하고 그 자료를 토대로 광상의 생성 원인을 밝히고 그 형태를 유추하며 이를 보다 확실히 하기 위해 지전류를 이용한 전탐법, 자장을 이용한 자탐법, 지진파전파속도를 이용한 탄성파 탐사, 지구의 중력을 이용한 중력탐사법 등의 물리 탐사를 널리 이용하고 있다. 만약 노두가 전혀 없는 평원의 경우나 초원에서는 풀, 나뭇잎이나 흙의 성분을 분석하여 알아내는 지화학탐사법이 적용되며 이렇게 알아낸 잠두광체의 부존 가능성이 높은 지역은 시추 작업을 실시하여 하부의 광체를 발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발견한 광체는 최종적으로 갱도를 굴착하여 광체까지 도달하게 되고 그 갱도를 이용하여 채광·운반·통기·배수 등을 하게 된다.